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리스트 자료형은 몇 가지 메서드들을 더 가지고 있다.

  • append(x) : 리스트의 끝에 항목을 추가한다. a[len(a):] = [x] 와 동일하다.
  • extend(iterable) : 리스트의 끝에 이터러블의 모든 항목을 덧붙여 추가한다. a[len(a):] = iterable 와 동일하다.
  • insert(i, x) : 주어진 위치에 항목을 추가한다. 첫 번째 인자는 삽입되는 항목이 갖게될 인덱스이다. a.insert(0, x) 는 리스트의 처음에 삽입되고, a.insert(len(a), x) 는 a.append(a) 와 동일하다.
  • remove(x) : 리스트에서 값이 x 와 같은 첫 번째 항목을 삭제한다.
  • pop[i] : 리스트에서 주어진 위치에 있는 항목을 삭제하고, 삭제된 항목을 반환한다. 인덱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a.pop() 은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반환한다.
  • clear() : 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삭제한다. del a[:] 와 동일하다.
  • index(x [, start [,end]]) : 리스트에 있는 항목중 값이 x 와 같은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한다. 선택적 인자인 start 와 end 는 슬라이스 표기법처럼 해석된다.
  • count(x) : 리스트에서 x 의 개수를 반환한다.
  • sort(key=None, reverse=False) : 리스트의 항목을 정렬한다.
  • reverse() : 리스트의 항목들을 뒤집어 재배열한다.
  • copy() : 리스트의 사본을 반환한다. a[:] 와 동일하다.
>>> fruits = ['orange', 'apple', 'pear', 'banana', 'kiwi', 'apple', 'banana']
>>> # 리스트에서 'apple' 이라는 항목의 개수를 return
>>> fruits.count('apple')
2

>>> # 리스트에서 'tangerine' 이라는 항목의 개수를 return
>>> fruits.count('tangerine')
0

>>> # 'banana' 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return (첫 번째 'banana' 의 인덱스를 반환한다.)
>>> fruits.index('banana')
3

>>> # 4번 인덱스를 시작으로 첫 번째로 만나는 'banana' 의 인덱스를 return
>>> fruits.index('banana', 4)
6

>>> # 리스트의 항목을 역순으로 재배열 한다
>>> fruits.reverse()
>>> fruits
['banana', 'apple', 'kiwi', 'banana', 'pear', 'apple', 'orange']

>>> # 리스트 항목 추가
>>> fruits.append('grape')
>>> fruits
['banana', 'apple', 'kiwi', 'banana', 'pear', 'apple', 'orange', 'grape']

>>> # 리스트 정렬
>>> fruits.sort()
>>> fruits
['apple', 'apple', 'banana', 'banana', 'grape', 'kiwi', 'orange', 'pear']

>>> # 리스트에서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삭제된 항목을 반환한다
>>> fruits.pop()
'pear'

 

리스트의 메소드

 

리스트 컴프리헨션은 리스트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. 제곱수의 리스트를 만드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.

>>> squares = []
>>> for x in range(10) :
...     squares.append(x**2)
...
>>> squares
[0, 1, 4, 9, 16, 25, 36, 49, 64, 81]

 

리스트 컴프리헨션

 

람다식을 이용하면 간결하고 읽기 쉬운 코딩을 할 수 있다.

>>> squares = list(map(lambda x: x**2, range(10)))
>>> squares
[0, 1, 4, 9, 16, 25, 36, 49, 64, 81]

>>> squares = [x**2 for x in range(10)]
>>> squares
[0, 1, 4, 9, 16, 25, 36, 49, 64, 81]

 

람다식을 이용한 리스트 컴프리헨션

 

리스트에서 del 문을 이용하여 값 대신 인덱스로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도 있다.

>>> a = [-1, 1, 66.25, 333, 333, 1234.5]
>>> del a[0]
>>> a
[1, 66.25, 333, 333, 1234.5]

>>> del a[2:4]
>>> a
[1, 66.25, 1234.5]

>>> del a[:]
>>> a
[]

 

인덱스를 사용한 리스트 항목 삭제

 

END

반응형

'IT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집합  (0) 2020.07.16
[Python] 튜플  (0) 2020.07.14
[Python] 함수 (Function)  (0) 2020.07.08
[Python] 제어문 (if, for, range(), break, continue)  (0) 2020.07.02
[Python] 리스트  (0) 2020.06.30
댓글
공지사항